top of page

2025년 3월 1일

삼일절 특집 창과 방패 출판

제106주년 3·1절 기념사

존경하는 창과 방패 독자 여러분,

2025년 3월 1일, 우리는 3·1운동이 일어난 지 106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날을 맞았습니다. 106년 전, 우리 선조들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온몸을 던졌고,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며 자유를 향한 의지를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그날의 정신을 기억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안보 상황을 돌아보고 미래를 대비하는 책임을 새롭게 다져야 합니다.


1. 3·1운동의 역사적 의미

3·1운동은 단순한 항일 시위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우리 민족이 자주독립을 향한 강한 의지를 전 세계에 천명한 역사적 사건이었으며, 비폭력 저항을 통해 민족의 단결력을 보여준 중요한 계기였습니다.


1919년 3월 1일,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고, 수많은 애국지사와 국민들이 태극기를 들고 거리로 나섰습니다. 일제의 폭압적인 탄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외친 "대한독립 만세"는 오늘날까지도 우리 가슴 깊이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이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기폭제가 되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독립운동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또한 3·1운동은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및 세계 각국의 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비폭력 저항운동 등에 영감을 주었으며, 자유와 인권을 위한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한국의 독립운동이 차지하는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1운동의 핵심 정신은 ‘자주독립’, ‘민족 단결’, 그리고 ‘비폭력 저항’입니다. 이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 속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이며, 우리가 계승해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2. 2025년, 대한민국의 안보 상황과 우리의 역할

오늘날 대한민국은 1919년과는 다른 형태의 도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3·1운동이 있었던 당시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다시금 국가의 주권과 안보를 지키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합니다. 특히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더욱 냉철하게 현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안보 환경은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북한의 지속적인 군사적 도발, 미·중 간 전략 경쟁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안보 지형 변화 등은 대한민국의 안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군사력 강화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가 안보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합니다.


특히 북한은 최근 다양한 형태의 미사일 실험을 감행하며 한반도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이버 공격과 비대칭 전력 강화 등의 수단을 활용하여 대한민국의 안보를 흔들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는 한미 동맹을 더욱 굳건히 하고, 다자간 안보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한편 경제 안보 또한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 산업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에너지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과 직결된 사안입니다. 3·1운동이 우리에게 가르쳐 준 자주독립의 정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은 외교·경제·국방 전반에서 보다 강한 자립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3. 3·1운동 정신의 계승과 미래를 향한 다짐

3·1운동 106주년을 맞아, 우리는 단순히 과거를 기리는 것에서 그쳐서는 안 됩니다. 3·1운동이 남긴 숭고한 정신을 오늘날 우리의 삶과 국가 발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첫째, 우리는 안보를 지키기 위해 더욱 단결해야 합니다. 외부의 위협이 커질수록 내부의 결속이 중요합니다. 정치적·사회적 갈등을 극복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모두가 하나 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둘째, 대한민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미래 세대에 올바른 역사 교육을 해야 합니다. 3·1운동의 의미를 잊지 않도록 하고, 청년들이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며 대한민국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셋째, 대한민국의 외교·안보 전략을 강화하여, 국제사회에서 더욱 영향력 있는 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단순히 생존을 넘어, 글로벌 리더로서 자유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의 가치를 확산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4. 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의 역할과 다짐

우리 (사)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는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한 정책 연구와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창과 방패 독자 여러분과 함께 자유와 평화를 위한 길을 만들어 가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겠습니다. 우리의 사명은 단순히 과거를 기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정신을 현재와 미래로 이어가는 데 있습니다.


3·1운동의 숭고한 정신이 우리 마음속에 항상 살아 숨 쉬길 바라며, 독자 여러분 모두가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위해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우리 모두가 서로를 격려하며 협력할 때,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은 현실이 될 것입니다.


대한독립 만세! 대한민국 만세!


2025년 3월 1일(사)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

공익법인 고시 - 재정기획부

농협 : 301-033603991-41

(03157) 서울시 종로구 종로19,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A동 1401호

E-mail : nalzasky@hanmail.net

TEL : (02) 732-9871

FAX : (02) 732-9872

© Copyright 2021 - (사)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

bottom of page